전공과목해설
과목코드 | 과목명 | 내용 |
---|---|---|
MCP10120 | 명상입문 Introduction to Meditation |
명상의 기원과 역사, 의미, 종류, 종교와 비종교명상의 특징, 현대 명상의 흐름 등에 대해 탐구하고, 실제 명상 실습을 해본다. This course reviews the history of meditation and explores different types of meditation including modernized meditation. |
MCP10125 | 성격심리 Personality Psychology |
인간의 성격을 특질, 정신역동적, 내적 경험, 행동주의적, 인지적,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한다.성격심리에 관한 최근 동향과 주요 쟁점을 탐구하고, 성격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실제 긍정심리학 기반 성격강점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자기이해를 돕고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The course will understand human personality from a characteristic, psychodynamic, inner experience, activist, cognitive, and biological perspective. It focuses on helping students understand themselves and improve their interpersonal skills by experiencing actual positive psychology-based character strengths activities. |
BUD10114 | 불교학의이해 Understanding of Buddhist Studies |
불교학을 전공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외국어 학습 능력 배양의 필요성과 체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This course leads students to learn what is needed(eg. learning foreign languages such as Chinese). Students are introduced to prepare for Buddhist Studies. |
MCP10220 | 자비명상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
자신과 타인을 위한 자비 명상을 수행하고 이를 지도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to practice and teach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for self and others. |
MCP10320 | 심리학개론 Introduction to Psychology |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에 관련된 모든 현상은 인간의 심리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본 수업에서는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인간 행동과 정신과정에 관련된 과학적인 내용을 탐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to practice and teach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for self and others. This course introduces the breadth and diversity of contemporary psychology. It provides a foundation from which the student might progress to more advanced, specialized courses. Topics include learning, perception, biopsychological processes, childhood and development,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and social behavior. |
MCP10420 | 명상심리상담전공진로탐색 Job Survey in Meditation |
명상심리상담학과의 직업분야를 탐색해 보고, 선택한 직업에서의 성공방법을 모색해본다. This course examines students` job survey based on students` aptitude and the ways to lead to success in their career. |
MCP20121 | 명상과스트레스 Meditation and Stress |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명상의 역할을 살펴보고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명상 프로그램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meditation can help to release stress and learn how to teach people who suffer from stress. |
MCP20221 | 명상과요가 Meditation and Yoga |
심신의 치유를 위해 활용되는 요가를 명상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요가 명상 지도법을 탐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yoga is related to a meditation practice and learn how to teach yoga. |
MCP20125 | 집단상담 Group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
집단상담 이론과 집단 역동성, 집단응집성, 집단상담기법 등을 학습한다.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familiarize students with skills and techniques for effective group counseling and leadership of groups.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he basics of group counseling and group dynamics. |
BUD20197 | 초기불교 Early Buddhism |
초기불교는 불교의 근본교설뿐 아니라 대승불교학의 기초학이라는 관점에서 먼저 아함경을 간단히 해제하고 불교흥기의 역사적 배경을 소개한다. 그리고 아함경에서 정선된 자료집에서 입각해서 ①업설 ②육육법 ③오온사제 ④십이연기의 사대법문의 체계적 교리구조를 밝혀본다. We look into the life ot the historical Buddha and his teachings. we focus on the main teachings such as Karma, Dependent Origination, Four Noble Truths. we discuss how the Buddhist community survive after the death of the Buddha. |
MCP20421 | 명상과인지치료 Meditation and Cognitive Therapy |
명상이 인지치료에 활용되는 방법을 탐구하고 인지치료를 위해 명상을 지도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to integrate meditation into cognitive therapy sessions. |
MCP20225 | 발달심리학 Developmental Psychology |
인간발달의 태내기, 출생과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전기, 성인중기, 노년기 및 생의 마지막과 죽음 준비에 대해 학습한다. 각 발달단계에 따른 인지적, 정서적, 사회심리적, 행동적인 발달과정과 발달과업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최근 사회의 다양한 이슈들을 탐색한다. The course will learn about the prenatal and neonatal period, infancy, early childhood, childhood, adolescence, early adulthood, mid-adult period, old age, and the final and death preparation of human development. Understand the cognitive, emotional, soci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processes and development tasks of each development stage, and explore various recent social issues related to them. |
MCP20325 | 학업상담 Academic Counseling |
최근의 사회변화와 새로운 학습환경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학업 관련 문제들의 원인과 대처 방법을 습득한다. 학습심리학의 학습원리와 방법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배우고 실제 학습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효율적인 학업성취에 필요한 심리적, 환경적 전략에 대한 실제적인 학업상담 과정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더 나아가 수강생들은 자신의 학습을 증진시킬 구체적인 학습전략 및 방안을 계획하고 실천한다.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causes of various academic problems found in recent social changes and new learning environments and how to deal with them. Students will learn the learning principles and methods of learning psychology through various cases and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actual learning process. Students systematically learn practical academic counseling process knowledge o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strategies necessary for effective academic achievement. Furthermore, students plan and implement specific learning strategies and measures to enhance their learning. |
MCP30122 | 명상과교육 Meditation in Education |
명상이 통합된 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아동, 청소년을 위해 명상을 교육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to incorporate meditation into educational settings and how to developmentally appropriately apply medit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MCP30125 | 상담및심리치료이론과기법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ories and Techniques |
상담 및 심리치료의 고전적 이론 및 최신 이론들을 명확히 이해함으로써 상담의 기초를 다진다.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별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 핵심 개념, 공통 기법, 상담 과정, 사회문화적 이슈 그리고 이론의 효과 등을 학습하고, 더 나아가 사례연구를 통해 상담 기법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탐색한다. The course will lay the foundation for counseling by clearly understanding the classical and the latest theorie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Learn about the human nature perspective, core concepts, common techniques, counseling process, sociocultural issu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ories in each theory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explore how counseling techniques are applied through case studies. |
MCP30225 | 가족상담 Couple and Family Counseling |
현대사회의 다양하고 복잡한 가족문제의 양상과 현황을 살펴보고 대처방안을 모색한다. 가족상담의 접근별 주요 이론 및 실제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문제 증상에 따른 상담 기법 연습과 사례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This course examines the aspects and current status of various and complex family problems in modern society and seeks ways to deal with them. Students will ga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ain theories and practices of each approach to family counseling, and learn how to approach counseling techniques and cases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the problem. |
BUD30219 | 선수행론 The Way of Seon Practice |
이 강좌는 선 수행에 대한 이론적 과정으로서 선 수행의 목적과 원리를 고찰하고 선수행자가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해야 하는지를 제시한다. It is a theoretical study about Seon practice in which what is the purpose and principle of Seon practice and how practitioners should approach the Seon practice. |
MCP30322 | 명상과뇌과학 Meditation and Neuroscience |
뇌과학 분야를 학습하고 명상 수행과 연관된 뇌과학 연구에 대해 살펴본다. This course explains how neuroscience helps explore the positive effects of meditation. |
MCP30325 | 이상심리학 Abnormal Psychology |
이상 행동의 이해를 통해 정신장애의 원인, 증상, 그리고 치료에 대한 지식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This course provides an examination of the various psychological disorders, as well as theoretical, clinical, and experimental perspectives of the study of psychopathology. Emphasis is placed on terminology, classification, etiology, assessment, and treatment of the major disorders. |
MCP20321 | 미술치료 Art Therapy |
심리적 문제와 증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다양한 미술치료 원리와 기법들을 학습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임상적인 방법을 실습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he therapeutic functions of art. It aims for students to become familiar with art therapy methods and techniques whose primary objective is to develop creative expressions. |
MCP30325 | 이상심리학 Abnormal Psychology |
이상 행동의 이해를 통해 정신장애의 원인, 증상, 그리고 치료에 대한 지식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This course provides an examination of the various psychological disorders, as well as theoretical, clinical, and experimental perspectives of the study of psychopathology. Emphasis is placed on terminology, classification, etiology, assessment, and treatment of the major disorders. |
MCP30425 | 상담실습및사례연구 Counseling Practice & Case Studies |
심리상담의 실습은 임상 상담가가 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상담이론과 상담기술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탐구하고, 상담 현장에 적합한 상담 기술과 절차를 익힌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skills. |
BUD31116 | 불교인식론 Buddhist Epistemology |
불교교리의 전반적인 내용 중에서 유식적인 사상들을 종합 분석하여 이를 설명하고 더 나아가서 이것을 주관과 객관적인 입장에서 살피며, 일상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수행 등에 관하여 교육 및 숙지시킨다. In this lecture we will study on Vijñaptimātra thought. Vijñaptimātra thought is not only an Epistemology but also a theory of Mahāyāna practice. At first we will review the world view of Vijñaptimātra thought, and then introduce some important scriptures and treatises. Based on these studies we will compare the Vijñaptimātra thought with Western Philosophies. |
MCP40123 | 명상실습및지도 Supervision of Meditation Practices |
명상을 수행하고 가르치면서 명상 수행 방법과 지도 방법을 익힌다. This course explains how to practice meditation and how to lead people to do meditation. |
MCP40125 | 심리검사 Psychological Testing |
심리검사는 지능, 성격, 적성 등과 같은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객관적 및 투사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한다. 이러한 심리검사에 대한 핵심 이론과 다양한 심리검사 방법들을 학습함으로써 심리검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증진시킨다. 상담 장면에서 많이 활용되는 심리검사들을 살펴보고 실제 피검사자 경험을 해 봄으로써 심리검사의 효용성을 논의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한다. Psychological tests objectively and projectively measure and evaluate vario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s, such as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aptitude. By learning the core theories of these psychological tests and various psychological test method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tests is enhanced. This course examines psychological tests that are widely used in counseling settings and allows you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tests and suggest directions for their development by experiencing the actual test taker experience. |
MCP40225 | 미술치료 Art Therapy |
심리적 문제와 증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다양한 미술치료 원리와 기법들을 학습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임상적인 방법을 실습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he therapeutic functions of art. It aims for students to become familiar with art therapy methods and techniques whose primary objective is to develop creative expressions. |
BUD42326 | 불교상담심리학캡스톤디자인 Buddhist Counselling and Psychology Capstone Design |
본 강좌는 불교 교리와 명상 및 현대 심리학 이론을 융합하여 상담과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이론 능력과 실무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강좌를 통해서 학생들은 전공 특성에 적합한 직무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관련 기관을 방문에 상담 실무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여 취업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Buddhist meditation psychology and Buddhist counseling together. Through this understanding, the students of this course will be able to develop theoretical and practical skills to perform psychological counseling andpsychotherapy.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improve job competenc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ajor and expand their employment opportunities. |
BUD40317 | 참선지도방법론 Methodology of Teaching and Leading Seon Practice |
이 강좌는 선 수행을 지도하는 방법을 교습시키는 전공심화과정의 하나로서 선을 수행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올바른 자세와 용심을 가르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준비하도록 함. It is to provide the methodology of teaching and leading Seon Practice for students how they properly teach and lead people who want to practice Seon in terms of the physical and spiritual ways. |
MCP40423 | 심리상담연구방법론 Research Theory and Methods in Counselling Psychology |
상담관련 지식과 기술을 상담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상담실습 및 슈퍼비전을 통해 자신의 상담역량을 점검한다. 상담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담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실제 상담현장에서 상담자가 직면하는 윤리적 쟁점들을 탐색하고 윤리강령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한다. Students will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counseling knowledge and skills to counseling cases. Students test their counseling competencies through counseling practice and supervision. Students will ga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counseling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of counseling cases, explore the ethical issues faced by counselors in the actual counseling field, and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de of Ethics. |
MCP40623 | 명상심리상담취업세미나 Meditation Counseling Psychology Job seminar |
학생들이 취업/진학에 성공할 수 있도록 맞춤식 전략을 구축하여 최적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함으로써, 모든 학생들이 희망하는 기관에 취업/진학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과목이다. For this goal every student is respectively trained for optimal preparation through most appropriate strategies. |
MCP40523 | 명상심리상담캡스톤디자인 Meditation Counseling Psychology |
4년간의 학습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기획하고 개발하여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Students are particularly expecte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design and develop various forms of content for Meditation Counseling Psychology in response to their users needs. |
BUD42223 | 선문학특강 Topics on Seon literature |
선전(禪典) 및 선어록(禪語錄)을 중심으로 선문학의 내용을 살펴보고 선의 개념과 전통 형성의 역사 및 문화의 발전과정을 인도로부터 중국과 한국에 걸쳐 개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This course provides the students with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re thoughts of Seon Buddhism. The students are expected to have the intellectual skills necessary for reflective capability through the teachings of Buddhist Scriptures and Analects, so that they can apply the skillful methods to the Seon-practice and the Bodhisattva Path in order to achieve the wisdom, loving kindness and compass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