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과목해설
과목코드 | 과목명 | 내용 |
---|---|---|
BCC101 | 영유아발달 Young Children Development |
인간에 대한 이해는 생애초기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한다. 태아기부터 영아기, 걸음마기 아동의 발달을 뇌 발달, 인지와 언어, 정서와 사회성, 신체발달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연령별 최적 발달을 지원해주는 환경 구성과 교사 및 성인의 역할을 배운다. Understanding of human life is to understand human development.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the characteristics, principles, and theories of brain development, cognition and language, sociality and emotion, physical and exercise development from the fetal period to toddler. Students will discuss the suitable environment and teacher's role for infant and toddler. |
BCC304 | 상담이론과 실제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
효과적인 상담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 아동의 부적응 문제를 다루는 다양한 상담 및 치료 이론들을 배우고, 실제 상담에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익힌다. Effective counseling requires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his course covers various of counseling and therapeutic theories and practical counseling strategies dealing with children's maladjustment problems. |
BCC307 | 청소년상담 Adolescent Counseling |
청소년기는 급격한 심신의 변화로 인해 매우 불안정한 시기이다. 청소년기의 방황과 갈등, 문제행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토대로, 최적의 상담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배우고 익힌다. The adolescent period is a very unstable stage due to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This course discusses various ways for students to implement counseling strategies through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struggles, emotional conflicts and behavior problems. |
BCC406 | 심리측정 몇 평가 Psychometric Assessment |
아동의 개인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상담과 교육 및 치료에 필수적이다. 아동의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최적의 진단과 판단 및 조치를 실행 할 수 있도록, 심리측정과 평가의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심리 검사와 평가 방법을 익힌다. Understanding of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an effective children counseling, education and therapy. This course teaches various theories of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evaluation related to children's psychological need. |
BUD 101 | 불교학의이해 Understanding of Buddhist Studies |
불교학을 전공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외국어 학습 능력 배양의 필요성과 쳬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This course leads students to learn what is needed(eg. learning foreign languages such as Chinese). Students are introduced to prepare for Buddhist Studies. |
BUD 212 | 선문학특강 Topics on Seon literature |
선전(禪典) 및 선어록(禪語錄)을 중심으로 선문학의 내용을 살펴보고 선의 개념과 전통 형성의 역사 및 문화의 발전과정을 인도로부터 중국과 한국에 걸쳐 개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This course provides the students with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re thoughts of Seon Buddhism. The students are expected to have the intellectual skills necessary for reflective capability through the teachings of Buddhist Scriptures and Analects, so that they can apply the skillful methods to the Seon-practice and the Bodhisattva Path in order to achieve the wisdom, loving kindness and compassion. |
BUD 301 | 중관학 Mādhyamika Philosophy |
대승불교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용수의 공사상에 대해서 중론에 근거하여 연구한다. 아울러 중관학의 발생 배경과 발전 양상 등을 다루고, 중관학 문헌들이 중국에서 한역되면서 새롭게 성립한 삼론학의 중요사상까지 소개한다. Mādhyamika Philosophy was created by Nāgārjuna who have been called as the father of Mahāyāna Buddhism. We will study on the Emptiness philosophy of Nāgārjuna based on his treatise Madhyamaka Kārikā. Then we will study on the background, birth and development of Mādhyamika Philosophy. At the end of this lecture we will study on Sān-lūn thought that was established in China after translating the Madhyamaka treatises. |
BUD 302 | 선수행론 The Way of Seon Practice |
이 강좌는 선 수행에 대한 이론적 과정으로서 선 수행의 목적과 원리를 고찰하고 선수행자가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해야 하는지를 제시한다. It is a theoretical study about Seon practice in which what is the purpose and principle of Seon practice and how practitioners should approach the Seon practice. |
BUD 311 | 불교인식론 Buddhist Epistemology |
불교교리의 전반적인 내용 중에서 유식적인 사상들을 종합 분석하여 이를 설명하고 더 나아가서 이것을 주관과 객관적인 입장에서 살피며, 일상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수행 등에 관하여 교육 및 숙지시킨다. In this lecture we will study on Vijñaptimātra thought. Vijñaptimātra thought is not only an Epistemology but also a theory of Mahāyāna practice. At first we will review the world view of Vijñaptimātra thought, and then introduce some important scriptures and treatises. Based on these studies we will compare the Vijñaptimātra thought with Western Philosophies. |
BUD 403 | 참선지도방법론 Methodology of Teaching and Leading Seon Practice |
이 강좌는 선 수행을 지도하는 방법을 교습시키는 전공심화과정의 하나로서 선을 수행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올바른 자세와 용심을 가르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준비하도록 함. It is to provide the methodology of teaching and leading Seon Practice for students how they properly teach and lead people who want to practice Seon in terms of the physical and spiritual ways. |
BUD 411 | 불교상담심리학 Buddhist Counselling and Psychology |
과학의 발달과 지식의 배가로 말미암아 현실과 괴리함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를 불교적인 관점에서 지도·상담하여 올바른 이성을 가지고 생활하게 한다.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인격 향상을 도모한다. The relevance of Buddhism to the field of psychology and counseling is lectured. The value and utility of teachings and approaches found in Buddhism is to be set in the context of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It also aims to look into one’s mind to develop one’s personality. |
MCP 101 | 명상입문 Introduction to Meditation |
명상의 기원과 역사, 의미, 종류, 종교와 비종교명상의 특징, 현대 명상의 흐름 등에 대해 탐구하고, 실제 명상 실습을 해본다. This course reviews the history of meditation and explores different types of meditation including modernized meditation. |
MCP 102 | 자비명상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
자신과 타인을 위한 자비 명상을 수행하고 이를 지도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to practice and teach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for self and others. |
MCP 103 | 심리학개론 Introduction to Psychology |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에 관련된 모든 현상은 인간의 심리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본 수업에서는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인간 행동과 정신과정에 관련된 과학적인 내용을 탐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to practice and teach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for self and others. This course introduces the breadth and diversity of contemporary psychology. It provides a foundation from which the student might progress to more advanced, specialized courses. Topics include learning, perception, biopsychological processes, childhood and development,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and social behavior. |
MCP 104 | 명상심리상담전공진로탐색 Job Survey in Meditation |
명상심리상담학과의 직업분야를 탐색해 보고, 선택한 직업에서의 성공방법을 모색해본다. This course examines students` job survey based on students` aptitude and the ways to lead to success in their career. |
MCP 201 | 명상과스트레스 Meditation and Stress |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명상의 역할을 살펴보고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명상 프로그램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meditation can help to release stress and learn how to teach people who suffer from stress. |
MCP 202 | 명상과요가 Meditation and Yoga |
심신의 치유를 위해 활용되는 요가를 명상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요가 명상 지도법을 탐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yoga is related to a meditation practice and learn how to teach yoga. |
MCP 203 | 미술치료 Art Therapy |
심리적 문제와 증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다양한 미술치료 원리와 기법들을 학습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임상적인 방법을 실습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he therapeutic functions of art. It aims for students to become familiar with art therapy methods and techniques whose primary objective is to develop creative expressions. |
MCP 204 | 명상과인지치료 Meditation and Cognitive Therapy |
명상이 인지치료에 활용되는 방법을 탐구하고 인지치료를 위해 명상을 지도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to integrate meditation into cognitive therapy sessions. |
MCP 205 | 이상심리학 Abnormal Psychology |
이상 행동의 이해를 통해 정신장애의 원인, 증상, 그리고 치료에 대한 지식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This course provides an examination of the various psychological disorders, as well as theoretical, clinical, and experimental perspectives of the study of psychopathology. Emphasis is placed on terminology, classification, etiology, assessment, and treatment of the major disorders. |
MCP 301 | 명상과교육 Meditation in Education |
명상이 통합된 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아동, 청소년을 위해 명상을 교육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how to incorporate meditation into educational settings and how to developmentally appropriately apply medit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MCP 302 | 집단상담 Group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
집단상담 이론과 집단 역동성, 집단응집성, 집단상담기법 등을 학습한다.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familiarize students with skills and techniques for effective group counseling and leadership of groups.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he basics of group counseling and group dynamics. |
MCP 303 | 명상과뇌과학 Meditation and Neuroscience |
뇌과학 분야를 학습하고 명상 수행과 연관된 뇌과학 연구에 대해 살펴본다. This course explains how neuroscience helps explore the positive effects of meditation. |
MCP 304 | 학업및성상담 Academic Counseling & Sexuality Counseling |
효율적인 학업성취에 필요한 심리적, 환경적 책략에 대해 실제적인 학업상담과정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성상담, 성폭력 상담, 발달주기 별 강조해야 할 성교육 등에 대해 학습한다. Academic counseling is the process of advising students on a number of issues that students may face throughout their educational careers. Sexuality counseling includes gender, sex-role orientation and preference, sex therapy theories and techniques, current sexual life-styles, sexual dysfunction, relationship issues, AIDS and other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sexual deviance, rape, and incest, and family dysfunction. |
MCP 305 | 명삼심리상담현장실습1 Field Placement in Meditation Counseling Psychology 1 |
학생들이 강의를 통해 배운 전문적 지식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체험하도록 한다.(여름계절) Students are entrusted to the industry to experience how the professional knowledge learned through lectures is applied in the field.(Summer) |
MCP 401 | 명상실습및지도 Supervision of Meditation Practices |
명상을 수행하고 가르치면서 명상 수행 방법과 지도 방법을 익힌다. This course explains how to practice meditation and how to lead people to do meditation. |
MCP 402 | 다문화가족상담 Multicultural Counseling |
인종, 성, 여성, 장애인, 이민, 탈북자 등을 다문화 상담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다문화 가족을 대상으로 상담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an opportunity to gain multicultural competency as professional counselors. |
MCP 403 | 심리상담실습 Practicing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
현장 실습은 임상 상담가가 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상담 이론과 기술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탐구하고, 상담 현장에 적합한 상담 기술과 절차를 익힌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skills. |
MCP 404 | 심리상담연구방법론 Research Theory and Methods in Counseling Psychology |
다양한 심리상담 연구방법을 검토하고 심리 상담과 관련된 통계 기술을 이해하며 심리 상담학 연구를 분석하고 설계하는 과학적 접근법을 배운다. This course is a foundational course in research methods and design in counseling psychology. The course covers matters of the formulation of research problems, questions and hypotheses, research design types and threats to design validity, research instrumentation/measures, data analytic methods, interpreting data, and ethical issues, research integrity, and the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 |
MCP 405 | 명상심리상담캡스톤디자인 Meditation Counseling Psychology |
4년간의 학습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기획하고 개발하여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Students are particularly expecte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design and develop various forms of content for Meditation Counseling Psychology in response to their users needs. |
MCP 406 | 명상심리상담취업세미나 Meditation Counseling Psychology Job seminar |
학생들이 취업/진학에 성공할 수 있도록 맞춤식 전략을 구축하여 최적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함으로써, 모든 학생들이 희망하는 기관에 취업/진학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과목이다. For this goal every student is respectively trained for optimal preparation through most appropriate strategies. |
MCP 407 | 명삼심리상담현장실습2 Field Placement in Meditation Counseling Psychology 2 |
학생들이 강의를 통해 배운 전문적 지식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체험하도록 한다.(겨울계절) Students are entrusted to the industry to experience how the professional knowledge learned through lectures is applied in the field.(Winter) |